728x90
리눅스 종류와 소개
리눅스 종류
데미안 계열
- Ubuntu (우분투)
- Kali-linux (칼리 리눅스)
- 모의해킹 또는 Offensive 보안 복적으로 만들어져 여러 도구를 포함한 운영체제
래드햇 계열
- 페도라
- CentOS
- 대기업에서도 활용되는 오픈소스 운영체제
- RHEL
설치와 기본 환경 구성
설치
- Create a New Virtual Machine 클릭 ! 새로운 VM을 생성한다
- 개인설정에 맞추기 위해 'Costom' 선택
- 'Next >' 클릭
- "I will install the operating system later." 선택
- 'Next >' 클릭
- 내가 사용할 OS - Linux 선택
- Version에서 Linux의 종류맞춰 선택
- Version을 꼭! 맞춰 선택
- 여러가지 Linux들이 내장되어 있으니 맞춰서 선택
- 'Next >' 클릭
- VM의 이름을 붙여준다
- VM이 저장될 경로 설정
- 'Next >' 클릭
- 프로세스 코어 활용 개수 선택
- Local의 가용가능한 코어를 생각해서 선택
- 가동시킬 VM의 프로그램의 무게를 생각해서 선택
- 'Next >' 클릭
- Local 의 Ram을 생각해서 선택
- 가볍게 돌릴 생각으로 2G 선택함
- 'Next >' 클릭
- 'NAT' 선택
- NAT (Network Address Traslation) 네트워크 주소를 변환해 주는 기능을 의미
- 사설 IP를 이용하여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없으며, 사설 IP가 다시 밖으로 통신할 때는, NAT가 공인 IP 주소를 씌워 외부와 통신을 가능하게 함
- 'Next >' 클릭
- I/O 컨트롤러 방식 선택은 기본인 'LSI Logic'
- 입출력장치를 연결하는 입출력 포트를 제어하는 장치
- 'Next >' 클릭
- 디스크 (저장장치)의 타입을 선택 'SCSI'를 선택
- 'SCSI (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 컴퓨터에 주변기기를 연결할 때 직렬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표준을 일컫는다. 다시 말해, 컴퓨터에서 주변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병렬 표준 인터페이스로 입출력 버스를 접속하는 데에 필요한 기계적, 전기적인 요구 사항과 모든 주변 기기 장치를 중심으로 명령어 집합에 대한 규격을 말한다.
- 'SCSI (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 'Next >' 클릭
- 'create a new virtual disk' 선택
- 새로운 VM을 만들 것이다
- 'next >' 클릭
- 디스크 용량 설정은 '20.0G' 할당
- 'Store virtual disk as a single file' 하나의 싱글 파일로 디스크 저장 선택
- 'Allocate all disk space now.'는 Local 디스크의 크기를 고정하기 때문에 디스크 사용효율에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
- 만약 디스크의 용량을 크게 설정한다면 Spli 추천
- 'Next >' 클릭
- '이름'을 작성해주고 설정한 '20G 디스크'를 '이름' 으로 저장
- 'Next >' 클릭
- 만약 설정사항에서 변경할 사항이 있다면 'Customize Hardware...' 클릭
- 없다면 'Finish'
- 'CD/DVD' 선택
- 'Use ISO image file' 선택후, 미리 다운받은 iso image를 찾아 열어줌
- 'Power on this vitual machine' 클릭
- VM을 시작.
- Install Ubuntu 클릭 설치 진행
- 한국어가 좋지만 영어로 설정하고 'Continue' 클릭
- 'Nomal installation'으로 기본 설치를 진행
- 'Download updates while installing Ubuntu' 선택
- 업데이트가 되며 update 내용이 다운로드 됨
- 'Continue' 클릭
- 'Erase disk and install Ubuntu' 선택
- 새로 VM을 설치 하기 때문에 진행
- 'Install Now' 클릭
- 특별한 변경사항이 없으므로 'Continue' 클릭
- 현재 있는 국가 선택 'Seoul '
- 'Counrinue' 클릭
- 'Your name' 을 작성하면 'Pick a username'까지 작성됨
- Computer's name은 너무 길어 줄임
- ;password' 설정
- 'continue' 클릭
기본설정
- 이후 ssh 접속 등 유지관리의 안정성을 위해 Manual(static)설정을 한다
- 'Edit >Virtual Network Editor'에서 VMnet8(NAT)에 auto DHCP설정을 클릭
- VM Settings > Network Adapte > Custom > VMnet8(NAT) 설정
- 접속시 DHCP에서 자동으로 IP를 할당해 줌
- 사전에 $ sudo apt-get update 를 우선 진행
- 다운로드 받은 update내용 설치
- $ sudo apt-get install open-vm-tools vim ssh -y
- open-vm-tools : Open VM Tools(open-vm-tools)는 Linux 게스트 운영 체제에 대한 VMware Tools의 오픈 소스
- vim (Vi IMproved) : Bram Moolenaar가 만든 vi 호환 텍스트 편집기
- ssh (Secure SHell) :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하거나 원격 시스템에서 명령을 실행하고 다른 시스템으로 파일을 복사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응용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토콜을 가리킴
- 작업에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해 준다